정보, 혜택

의료급여 1종 2종. 병원비 부담 0원? 같지만 다른 의료급여 총정리

어울랑 2025. 9. 18. 03:04
반응형

 

의료급여1종2종, 정확히 무엇이 다를까요?
본인이나 가족이 해당된다면 꼭 알아야 할 대상·본인부담·신청 절차를 정리했습니다.”

 

 

🏥 의료급여 제도 개요

의료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생활이 어려운 가구의 의료비를 국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건강보험 대신 적용되며, 지정된 의료기관에서 낮은 본인부담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📊 의료급여1종2종 차이

의료급여 1종은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, 시설수급자 등이 해당하며 본인부담이 거의 없습니다.
의료급여 2종은 주거·교육·기타급여 수급자 등에게 적용되며, 1종보다 본인부담이 조금 더 큽니다.

구분 의료급여 1종 의료급여 2종
대상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, 시설수급자 주거·교육·기타급여 수급자
외래 본인부담 약 1,000~2,000원 약 1,500~3,000원
입원 본인부담 없음(무료) 10% 내외 부담
약국 500원 수준 1,000원 수준

📝 자격과 신청 절차

주민센터(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)에서 신청합니다.
① 소득·재산 조사 → ② 수급자 선정 → ③ 의료급여증 발급 및 지정 의료기관 안내
가구 상황 변동 시 반드시 변경 신고를 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 

⚠️ 본인부담 기준과 주의사항

  • 반드시 지정 의료기관을 이용해야 합니다.
  • 치과·한방 진료는 일부 본인부담률이 높습니다.
  • 비급여·선택진료는 지원 제외될 수 있습니다.
  • 가구 소득·재산 변동에 따라 자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 

❓ FAQ

▾ Q1. 건강보험과 중복 적용되나요?
아니요. 수급자로 지정되면 건강보험 대신 의료급여가 적용됩니다.
▾ Q2. 다른 지역 병원도 이용 가능한가요?
원칙적으로 지정 의료기관만 가능하며, 예외적 경우 의뢰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.
▾ Q3. 의료급여1종2종은 바뀔 수 있나요?
네. 가구 소득·재산 변동에 따라 자격 유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✅ 마무리

의료급여1종2종은 모두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지만, 본인부담 수준과 대상 범위가 다릅니다. 본인 상황에 맞는 유형을 확인하고 지정 의료기관을 통해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.

 

 

※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실제 본인부담·지원 범위는 지자체·의료기관 지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반드시 주민센터·보건복지상담센터(129)로 확인하세요.

 

반응형